전자·기타 제조업으로 부실업종 넓어져
구조조정대상 신용공여 작년의 2.7배
【서울=뉴시스】김지은 기자 = 조선·해운업 등 경기민간업종에 국한됐던 부실 그림자가 전 업종으로 확산되고 있다.
고용 창출 효과가 큰 휴대폰이나 디스플레이 등 전자업종도 작년부터 빠른 속도로 무너지고 있고, 기타 제조업의 부진도 이어지고 있어 신속한 구조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감독원은 2016년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채권은행들은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이상인 기업 중 602곳의 신용위험을 평가해 32곳을 구조조정대상 업체로 선정했다. 워크아웃 대상(기업개선작업)인 C등급이 13개, 법정관리 대상인 D등급이 19개였다.
업종별로는 조선·건설·해운·철강·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 기업이 17개사로 절반(53%)을 웃돌았다. 전자부품업종 등 협력업체의 부진으로 전자업종도 2년 연속 5곳 이상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전자업종은 2014년만 해도 채권은행 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된 대기업이 단 한 곳도 없었지만 작년부터 재무구조가 나빠진 기업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금감원 장복섭 신용감독국장은 "삼성전자·현대반도체·LG디스플레이 등 글로벌 기업을 제외하고 산업 분석을 해보면 재무구조가 썩 좋지 않았다"며 "삼성전자 등 대기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1·2차 협력업체의 부실이 컸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에서는 전자업종 50개사 중 5곳이 부실징후 기업으로 분류됐다. 조선은 25개사 중 6곳, 건설은 102개사 중 6곳, 해운은 13개사중 3곳, 철강은 58개사 중 1곳, 석유화학은 23개사 중 1곳이 포함됐다.
여기에 기타 제조업 10곳도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주형 및 금융제조업, 무기화학물, 유압기계 부품 제조, 음식 숙박업, 도소매, 스포츠시설 운영업 등이 해당됐다.
1~2년 전까지는 선정 기업이 대부분 취약업종인 건설이나 조선업종 내 기업이었으나 최근 들어 다변화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 우리나라 경기 지표는 암울하기만하다.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은 0.7%에 그치며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2분기 GDP성장률은 전기 대비 0.7% 증가했다. 이는 '세월호 참사'의 영향으로 내수가 급격히 위축됐던 2014년 3분기와 같은 수준이다.
'0%대 성장'이 3분기 연속 지속되면서 한국 경제에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 제조업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2로 기준점인 100에 한참 못 미쳤다. BSI는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수로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뜻한다.
내수와 수출부진에 대한 우려는 다소 완화된 반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환율에 대한 우려는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탓에 구조조정 기업이 금융권에 빌린 신용공여액은 19조500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2조4000억원(174.6%) 급증했다. 중대형 조선·해운사의 비중이 80%에 달하고 은행권에 빌린 돈이 90% 이상이었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2013년 4월 자율협약에 들어간 STX조선해양은 3년여만인 지난 5월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됐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은 물론 시중은행까지 모두 6억여원을 투입했다. 그룹차원의 자금지원이 요원한 한진해운도 자율협약을 신청한 지 3~4개월만에 구조조정 대상이 됐다.
금감원은 또 구조조정대상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재무구조나 수익성이 취약한 업체를 25곳 추가 선정했다. 전자가 7곳으로 가장 많았고 철강 4곳, 건설 4곳, 화학 2곳, 조선 1곳 등으로 분포했다. 금감원은 이들 기업을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으로 분류해 자구계획 이행실적을 점검·관리할 예정이다.
kje1321@newsis.com
구조조정대상 신용공여 작년의 2.7배
【서울=뉴시스】김지은 기자 = 조선·해운업 등 경기민간업종에 국한됐던 부실 그림자가 전 업종으로 확산되고 있다.
고용 창출 효과가 큰 휴대폰이나 디스플레이 등 전자업종도 작년부터 빠른 속도로 무너지고 있고, 기타 제조업의 부진도 이어지고 있어 신속한 구조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감독원은 2016년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채권은행들은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이상인 기업 중 602곳의 신용위험을 평가해 32곳을 구조조정대상 업체로 선정했다. 워크아웃 대상(기업개선작업)인 C등급이 13개, 법정관리 대상인 D등급이 19개였다.
업종별로는 조선·건설·해운·철강·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 기업이 17개사로 절반(53%)을 웃돌았다. 전자부품업종 등 협력업체의 부진으로 전자업종도 2년 연속 5곳 이상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전자업종은 2014년만 해도 채권은행 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된 대기업이 단 한 곳도 없었지만 작년부터 재무구조가 나빠진 기업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금감원 장복섭 신용감독국장은 "삼성전자·현대반도체·LG디스플레이 등 글로벌 기업을 제외하고 산업 분석을 해보면 재무구조가 썩 좋지 않았다"며 "삼성전자 등 대기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1·2차 협력업체의 부실이 컸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에서는 전자업종 50개사 중 5곳이 부실징후 기업으로 분류됐다. 조선은 25개사 중 6곳, 건설은 102개사 중 6곳, 해운은 13개사중 3곳, 철강은 58개사 중 1곳, 석유화학은 23개사 중 1곳이 포함됐다.
여기에 기타 제조업 10곳도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주형 및 금융제조업, 무기화학물, 유압기계 부품 제조, 음식 숙박업, 도소매, 스포츠시설 운영업 등이 해당됐다.
1~2년 전까지는 선정 기업이 대부분 취약업종인 건설이나 조선업종 내 기업이었으나 최근 들어 다변화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 우리나라 경기 지표는 암울하기만하다.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은 0.7%에 그치며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2분기 GDP성장률은 전기 대비 0.7% 증가했다. 이는 '세월호 참사'의 영향으로 내수가 급격히 위축됐던 2014년 3분기와 같은 수준이다.
'0%대 성장'이 3분기 연속 지속되면서 한국 경제에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 제조업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2로 기준점인 100에 한참 못 미쳤다. BSI는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상황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수로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뜻한다.
내수와 수출부진에 대한 우려는 다소 완화된 반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환율에 대한 우려는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탓에 구조조정 기업이 금융권에 빌린 신용공여액은 19조500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2조4000억원(174.6%) 급증했다. 중대형 조선·해운사의 비중이 80%에 달하고 은행권에 빌린 돈이 90% 이상이었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2013년 4월 자율협약에 들어간 STX조선해양은 3년여만인 지난 5월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됐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은 물론 시중은행까지 모두 6억여원을 투입했다. 그룹차원의 자금지원이 요원한 한진해운도 자율협약을 신청한 지 3~4개월만에 구조조정 대상이 됐다.
금감원은 또 구조조정대상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재무구조나 수익성이 취약한 업체를 25곳 추가 선정했다. 전자가 7곳으로 가장 많았고 철강 4곳, 건설 4곳, 화학 2곳, 조선 1곳 등으로 분포했다. 금감원은 이들 기업을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으로 분류해 자구계획 이행실적을 점검·관리할 예정이다.
kje1321@newsis.co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