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Sunday, May 15, 2016

생사 갈림길 현대상선, 서울서 용선료 최종담판 짓는다

이번주중 해외선주 5,6곳 초청

채권단, 금융당국도 지원 사격 검토

협상 실패시 청산 가능성 높아져



용선료 협상 마감 시한을 불과 5일 앞둔 현대상선이 이번 주중 협상 상대인 해외선주들을 서울로 불러 최종 담판을 짓기로 했다. 이번 담판은 현대상선의 생사를 결정할 중대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여 채권단은 물론 금융당국까지 지원 사격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1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이번 주중 대형 해외선주 수 곳을 서울로 초청해 용선료 인하 필요성을 설명하기로 했다. 해운업황 악화로 20분기 연속 적자를 낸 현대상선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지난 2월부터 해외선주 22곳과 개별적으로 용선료 인하 협상을 벌여 왔다. 이후 정부가 제시한 용선료 협상 시한이 이달 20일로 다가오면서 현대상선은 지난 4일 해외선주 전체에 용선료 약 30% 인하를 요청하는 최종 협상안을 보냈다. 이에 일부 선주들은 현대상선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것보다 용선료를 깎아주고 계약을 유지하는 편이 낫다고 판단했지만, 나머지 선주 5, 6곳은 인하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KDB산업은행 등 현대상선 채권단은 100%에 가까운 선주들이 용선료를 30%정도 낮춰줘야 용선료 협상에 성공한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런 절박한 상황을 감안해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도 서울에서 열릴 협상 테이블에 참석할 계획이다. 금융당국 역시 협상 지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현대상선과 채권단이 당국에 요청한다면 이에 응해 해외선사들이 궁금해 하는 정부 입장을 설명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당국은 정부가 개별 기업 문제에 나서는 것이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위배 소지가 있는지를 따져볼 예정이다.

만약 용선료 인하에 실패할 경우 현대상선은 기업 청산 수순을 밟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최근 한진해운과 달리 제3의 해운동맹(얼라이언스) 합류가 좌절된 현대상선은 오는 9월까지 재무구조를 개선해 추가 합류를 시도할 계획이지만, 용선료 인하 협상에 실패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해운동맹 합류는 더 멀어지게 된다. 이 경우 법원은 계속기업가치보다 청산가치가 더 높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