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Saturday, September 26, 2015

미국 국제무역위, 한국산 열연강판에도 덤핑 예비판정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한국산 냉연강판에 이어 열연강판에도 덤핑 예비판정을 내렸다.
26일(현지시간) ITC에 따르면 한국 등 7개국에서 미국에 판매하는 열연강판 일부 품목으로 인해 "미국 (철강)업계가 실질적으로 피해를 봤다는 합리적 시사점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지난 24일 결정했다.
ITC는 또 한국과 브라질, 터키산 열연강판에 대해 "정부 보조금이 지급되는 의혹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ITC의 결정에 따라 미국 상무부는 한국 등 7개국의 열연강판에 대해 반덤핑 여부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미국 상무부의 상계관세 잠정 결정과 반덤핑관세 잠정 결정은 각각 오는 11월과 내년 1월에 발표된다.
앞서 ITC는 지난 10일 한국 등 7개국의 냉연강판에 대해서도 미국 업계에 피해를 줬다는 예비판정을 내렸다.
ITC는 미국에 수입되는 상품에 대해 불법보조금 지급이나 지적재산권 침해 같은 행위가 발생했다는 의견이 제기됐을 때 미 관세법에 따라 사실 여부를 조사할 권한을 가진 기관이다.
smile@yna.co.kr

The Body Shop looks to bolster skin care lineup U.K.-based natural cosmetics firm seeking to enlarge presence in Korea’s highly developed cosmetics market

U.K.-based natural cosmetics firm The Body Shop is looking to bolster its skin care product lineup, which is expected to help the body care-focused company expand its presence in South Korea’s highly developed cosmetics market. 

“The Body Shop’s latest strategic focus is skin care, which has been seeing higher than expected sales, as shown through the popularity of our iconic products like the Tea Tree Oil and the Drops of Youth Essence,” said The Body Shop Korea general manager Oh Mi-kyung in an interview with The Korea Herald.

“By actively developing and promoting high-quality skin care products, The Body Shop Korea is looking to increase its total market share in the country, of which the skin care sector takes up roughly 55 percent compared to just 6 percent held by body care products,” she said.

As its name suggests, The Body Shop — a part of global cosmetics giant L’Oreal Group — has traditionally been a strong player in the body care sector while holding a comparatively low presence in the skin care section.

“Around 65 percent of The Body Shop Korea’s total sales come from body care products whereas skin care products account for around 25 percent," Oh said. “This also means that we have a lot of room and potential to introduce excellent skin care products, developed with L’Oreal’s leading cosmetics technology, to Korean consumers.”

The Body Shop considers Korea as one of the “company’s most important international markets,” alongside other well-known foreign beauty brands closely watching Korea’s fast-changing beauty industry, according to The Body Shop Korea executive.

A The Body Shop store in Seoul. (The Body Shop Korea)

As of 2014, the Korean cosmetics market was valued at an estimated 11.8 trillion won ($9.91 billion) and is expected to grow by more than 7 percent to reach roughly 12.6 trillion won this year, according to a 2015 report by Shinhan Investment Corp.

Standing among the top 10 cosmetics markets in the world, Korea is expected to further attract new players in the years to come given its reputation for developing innovative, high-tech beauty produc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market analyst Datamonitor.

“As Korea’s cosmetics industry has significantly grown in size, it has become both an important and difficult market for our global operations,” Oh said.

For one, The Body Shop Korea is the firm’s only country branch allowed to use advertisements for product promotion. Although The Body Shop, in line with its corporate values, prohibits the use of advertisements across its global operations, it made an exception for Korea, a primarily ad-driven market.

The U.K. natural cosmetics company is also expecting to win over Korean consumers with “high-quality products made with all-natural ingredients, hand-picked and processed under fair trade standards,” Oh said.

As part of its recent push to better promote and enlarge its current skin care lineup, The Body Shop is preparing to launch the Oils of Life, an intensely revitalizing facial oil, in Korea on Oct. 1.

The company expects the new facial oil to become one of The Body Shop’s best-selling skin care products along with its iconic antiblemish solution Tea Tree Oil and the Drops of Youth Concentrate, an antiaging serum introduced in 2012.

“The Body Shop will continue its product innovation in the years to come, introducing an expanded skincare and makeup product lineup to our customers in the future,” Oh said.

By Sohn Ji-young (jys@heraldcorp.com)

Apple’s new iPhone hits stores

How many iPhones can Apple Inc. sell? With the company hitting new sales records with each annual release, that’s a question facing chief executive officer Tim Cook as the latest batch of handsets hits stores on Friday around the world.

The latest models, following last year’s hugely popular design overhaul that added bigger screens, may not match the success of previous releases, according to analysts.
An Apple employee in Sydney takes a 'selfie' photograph of customers with the new iPhone 6s phone. (Yonhap)

Demand for the new iPhones appears to be lower than last year, “possibly meaningfully so,” said Andy Hargreaves, an analyst at Pacific Crest Securities who studied Google search data, device shipment times and third-party surveys. Analysts at Sanford C. Bernstein and Co. and RBC Capital Markets also raised concerns about iPhone growth. Since 2013, iPhone sales have increased an average of about 35 percent each quarter. In October to December alone last year, Apple sold 74.6 million iPhones. That’s about 34,000 iPhone purchases per hour.

Expectations are tempered partially because the gadget is at the point in its two-year design cycle that includes less dramatic changes. In the first year, Apple generally overhauls the device’s hardware, including its look and feel. For the following year’s model, designated with an “s” tacked on to the number, the Cupertino, California-based company makes more subtle improvements.

The iPhone 6s and 6s Plus look like last year’s versions but include new features such as 3D Touch, which provides a shortcut for checking mail, taking pictures and other functions when the user presses down on the screen. Apple also added an improved camera and a zippier processor.

Whether Apple can match last year’s demand will be determined when the new handsets start hitting stores in New Zealand, Australia, Japan, Singapore, China, Hong Kong, France, Germany, the UK, Canada, the US and Puerto Rico. The handsets will be on sale in more than 130 countries by year-end, according to Apple.

Sydney rain

In Sydney, hundreds queued in heavy rain outside Apple’s city-center store to be among the world’s first buyers. Dozens of staff counted down to the 8am opening before customers walked in, many of them recording the moment on their smartphones.

Lindsay Handmer, a freelance technology journalist from western Sydney, camped for 18 days in front of the store to be the first in line. He showered at a local gym and used the toilets at a nearby McDonald’s restaurant. He plans to auction his two new phones for a charity that helps the homeless.

“There have been good points and bad points,” Handmer, 32, said in an interview describing his stay on the streets. “I’ve been heckled and I’ve seen people overdosing.”

Zihao Niu, a Sydney-based business student from Beijing, waited for five hours. He said he always buys “s” model iPhones to avoid the teething problems from more radical overhauls and is especially drawn to the latest model’s pressure-sensitive screen.

“I think it’s wonderful,” said the 18-year-old. “I want to seize the moment and enjoy it.”

A heavyweight

A smooth release is critical for Apple, which generates more than 60 percent of its revenue from the phone. Cook is attempting to expand other businesses, but the portion of sales coming from the iPhone continues to grow. The Apple Watch hasn’t become a mainstream hit since it was released earlier this year and iPad sales are in decline.

The iPhone’s weight in Apple’s results has put further investor focus on the device’s performance. The stock through Wednesday was down 14 percent from its high in February, in part because of concerns that the device can’t continue its run of unprecedented growth.

Apple last week predicted it would top last year’s opening-weekend sales record of 10 million units, although that figure is boosted by availability this year in China, which wasn’t part of the initial rollout last year. A better gauge for how the device is selling will come in January, when the company reports sales for the holiday quarter.

Pricing options in the US vary more than for earlier releases. The two new iPhones start at $199 and $299 with a two-year carrier contract. Apple also introduced a programme for paying in installments of at least $37 a month, similar to plans offered by wireless companies including AT&T Inc. and Verizon Communications Inc. (Bloomberg)

Friday, September 25, 2015

거듭나라 벤처생태계]① 정부 지원금 사냥꾼·브로커를 아시나요

전세계 벤처 시장에 제2의 전성기가 왔다. 벤처기업으로 출발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페이스북·트위터·우버·샤오미 등이 전세계 산업계의 판도를 바꾸자 젊은 청년들이 벤처 창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다. 한국 역시 상장 전에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는 거물 벤처들이 속속 태어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외 벤처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벤처 생태계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지적한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지원을 하고 있지만, 지나친 정부개입으로 비효율과 도덕적 해이도 있다고 지적한다. 우리나라 벤처 생태계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편집자주]
서울시내 한 대학의 창업 관련 강연회(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조선일보DB
서울시내 한 대학의 창업 관련 강연회(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조선일보DB
지난해 중앙정부 중소기업 지원 사업의 금액 규모 분포 /자료=중소기업연구원
지난해 중앙정부 중소기업 지원 사업의 금액 규모 분포 /자료=중소기업연구원
벤처 기업을 운영하는 이영훈(가명·30대 중반)씨는 최근 중소기업청의 ‘민관 공동투자 R&D(연구개발) 협력펀드’에 지원서를 냈다. 중기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공동으로 조성한 160억원 규모의 펀드로,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에 3년 간 최대 10억원까지 지원하고 상용화가 완료될 경우 판로(販路)까지 마련해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대상 기업으로 선정될 경우 중간 진도 점검을 통과해야만 계속해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까다로운 조건같이 보이지만 이씨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기술력에 자신이 있어서가 아니다. 그는 “중국 중관춘(中觀村) 의 전자상가에 가면 500만원으로 그럴 듯한 시제품을 만들어올 수 있는데, 뭐하러 직접 개발해 만들겠냐”며 태연하게 웃었다.
이씨가 예상하는 R&D 비용은 약 1억원. 펀드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면 정부로부터 최대 75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정상적으로 기술 개발을 진행하는 대신 중국에서 500만원짜리 가짜 시제품을 만들어온다면, 7000만원을 남길 수 있는 셈이다. 3년 뒤 과제 지원 기간이 만료될 시점엔 “시제품까진 만들어봤지만 상용화엔 실패했다”고 둘러내면 그만이다.
정부의 R&D 지원금을 노린 벤처 기업가의 ‘꼼수’는 이씨에게만 해당되는 얘기가 아니다. 대학 교수들마저 정부 지원금을 타내는 데만 급급해 편법을 쓴다.
중기청의 한 관계자는 “대학과 중소기업 간 산학 연구에 대한 지원 사업을 할 때, 일부 기업이 해당 분야 전문가도 아닌 교수를 앞세워 신청서를 내는 경우가 있다”며 “이런 기업은 지원금을 받아도 R&D 대신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했다”고 말했다.
관계기관 역시 지원 대상 기업의 기술 개발 상황을 수시로 검토하고 자금 사용처에 관한 증빙 서류도 확인했지만 작정하고 속이려는 신청자들을 모두 걸러내진 못했다.
◆ 정부 벤처 지원 예산, 지난해 총 12조원 추산
국내·외 벤처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한국만큼 창업하기 좋은 나라가 거의 없다”고 입을 모은다. 창업시장에 풀린 정부 자금도 풍부하고, 벤처 지원 정책 역시 많다. 편법으로 정부 돈을 타 가는 ‘지원금 사냥꾼’이 곳곳에서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게 이들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중소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벤처·중소기업 지원 예산은 총 12조원에 달했던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의 지원 예산은 2012년 10조원, 2013년 11조원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해왔다.
지원 사업은 총 229건이었으며, 이 중에서 중앙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사업만 156개였고 공사·공단 등 관리 기관은 총 63개에 달했다. 이들 관리 기관의 소관 부처로는 중소기업청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미래창조과학부·금융위원회·농림축산식품부·고용노동부·환경부·문화체육관광부 등이 포함됐다.
올해와 내년 정부의 벤처·중소기업 지원 예산이 얼마나 되는지는 종합적으로 계산해내기가 쉽지 않다. 다만 주무부처인 중소기업청의 올해 본예산 규모는 7조8860억원, 내년도 본예산은 8조609억원이다. 중소기업청의 본예산이 8조원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2016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전국에 설치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한 벤처·중소기업 지원사업 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창업 성장 자금을 올해 300억원에서 내년 635억원으로 늘리고 액셀러레이터 지원에 91억원을 새로 배정했다.
이 외에 창업 2~5년차 기업만을 위한 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해 100억원을 배정하고 중소기업청의 팁스(TIPS) 프로그램 예산을 올해 365억원에서 425억원으로 늘리기로 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신설하거나 확대할 예정이다.
실리콘밸리 벤처생태계 전문가인 윤종영 타오스 선임 컨설턴트는 “우리나라는 1년 안에 벤처 기업 몇 개에 투자해야 한다든지 하는 ‘양 채우기’식 지원이 많은데, 그렇다보니 계약 금액이나 성과 등에 대한 내용에도 부풀리기나 왜곡이 많이 섞여있으며 일일이 확인이 다 안 되는 것이 현실”이라며 “공무원들도 이런 문제를 다 알고 있지만 대안이 없다고들 한다”고 말했다.
◆ ‘지원금 사냥꾼’에 이어 ‘브로커’까지
벤처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금이 넘쳐나다보니 청년 창업가들을 겨냥한 ‘지원금 브로커’까지 등장하고 있다.
벤처 기업가 김경재(가명)씨는 “올 초 정부 지원금을 받게 해주겠다며 접근한 노무사에게 사기를 당했다”고 말했다.
노무사는 김씨에게 “조건만 충족한다면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연결해주겠다”며 수수료 30만원을 선금으로 받았다. 김씨에게 돌아온 대답은 “아무래도 조건이 안 돼 지원금을 받기 어렵겠다”는 것이었다.
국내 한 액셀러레이터도 입주 기업이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알선해준 뒤 중간에서 수수료를 챙겨 논란이 된 바 있다.
입주 기업 관계자는 “월세와 회계사 자문 비용 등 한달에 약 150만원을 지불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지원금 수수료까지 떼어가겠다고 하니 조금 당황스러웠지만, 그렇게 해서라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면 입주사 입장에서는 많이 남는 장사”라고 말했다.

Sunday, September 20, 2015

세계1위 휴대용 부탄가스 업체 9차례 가격담합 혐의로 재판에

태양·세안산업 '썬연료'

세계 시장점유율 1위인 휴대용 부탄가스 제조.판매 업체가 담합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한동훈 부장검사)는 주식회사 태양과 세안산업, 두 업체 대표 현모씨(58)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각각 불구속 기소했다고 20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태양과 세안산업은 지난 2007년 9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맥선.닥터하우스.화산 등 동종업체들과 9차례 가격조정을 담합한 혐의다.

태양과 세안산업은 '썬연료' 등 같은 제품을 판매하는 계열사로, 두 회사를 합치면 2013년 기준 국내 시장점유율 70.8%다.

한국이 최대시장인 업계 특성상 전세계 휴대용 부탄가스의 60% 가량을 두 회사가 공급한다.

현씨는 2007년 상반기 서울 신사동의 한 일식집에서 맥선 대표 박모씨, 닥터하우스 대표 송모씨를 만나 향후 가격을 서로 합의해 결정키로 했고 임원들은 가격조정 요인이 있을 때마다 골프 회동을 하거나 전화통화를 하며 인상.인하 폭을 정했다는 것이다.

한 통에 1000원 안팎인 부탄가스 값이 한번에 90원씩 오른 때도 있었다. 태양의 이모 상무는 자사 가격인상을 다른 업체들에 미리 알려주기도 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국내에서 연간 2억통 가량 팔리는 휴대용 부탄가스는 이들 5개 업체가 100% 시장을 차지하는 철저한 과점시장이다.

'조강지처' '안터져요'라는 광고 카피가 각인될 정도로 기존 업체끼리만 경쟁하고 있다. 
검찰은 이런 시장구조와 태양.세안산업의 시장지배력 때문에 장기간 담합이 가능했다고 보고 있다.

공정거래위는 지난 5월 태양.세안산업에 과징금 249억원을 부과하고 검찰에 고발 조치했다. 나머지 회사들은 리니언시(자진신고자 감면제도) 등으로 시정명령과 과징금 처분만 받았다.